전체 글 1734

카피의 힘 _ 설문의 법칙

설문의 법칙 같은 말이라도 질문을 던지면 사람들은 관심을 갖는다. 같은 내용이라 하더라도 질문을 던지는 문장이면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다. 생각한다는 것은 그만큼 그 문장에 관심을 갖고 생각을 개입한다는 의미가 있다. 다음 두 문장을 비교해 보라. 이 두 문장 중에서 어느 것이 사람들의 관심을 끌까? 1. 당신의 영어에서 저지르는 실수를 잡아드립니다. 2. 당신은 영어에서 이런 실수를 하지 않으십니까? 당연히 두 번째이다. 대개의 사람들은 영어에서 자신의 실수가 있다는 걸 안다. 그 실수를 잡아준다는 직설적 표현도 좋지만 이 경우는 남의 일처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질문을 던지면 바로 자신의 이야기로 받아들이게 된다. 설문의 법칙이 가지는 장점이다. ‘우리는 인도로 간다’ 와 ‘왜 ..

다 _ 홍승환

다 홍승환 다 주고 싶은 사람이 있다다 함께 하고픈 사람이 있다다시는 놓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다 다른 사람에게는 알려주고 싶지 않을 정도로다시는 놓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다 다소곳하게 창가에 머물고 있는 새처럼다정한 눈빛을 갖고 있는 사람이 있다 다가갈수록 다가갈수록다시금 멀어지는 사람이 있다 다행히 추억이라는 아름다운 기억이 있어다친 마음 어루만져 줄 수 있기에... 지금은 다른 사람의 곁에 있지만다음 세상에서는 다시는 놓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다

나 _ 홍승환

나 홍승환 나라는 존재에 대해 생각해 본다나라는 존재가 하루하루 새로운 시간들을 만들어 낸다나라는 존재는 문득문득 낯익은 시간들을 경험한다 나른한 머리속이 찌릿하며 두 눈에 촛점이 흐려진다나라는 존재는 언젠가 이 시점을 경험했던 것인가나는 이 시간을 다른 존재로 겼었을 지도 모른다데.쟈.뷰. 나이가 들수록 더 자주 만나게 된다 나를 알고 있는 사람나를 둘러싼 많은 사람나로 인해 발생되는 모든 일들나는 정답을 알고있다 내가 쓰고 있는 인생의 한 페이지 한 페이지마지막 장을 넘기는 그 순간나는 나에서 영원으로 바뀌고 만다 나는 언젠가는 사라지고 만다내 머리속은 까맣게 변하고 만다그리곤 다시 나는 다른 내가 된다

카피의 힘 _ 역설의 법칙

역설의 법칙 놀부부대찌개. 처음 들었을 때 의아한 느낌을 주는 것은 구두쇠이고 동생 흥부에게 모질게 한 놀부의 이름을 붙인 것이다. 그러나 이 브랜드는 오히려 큰 효과를 보았다. 기존의 부대찌개를 젊은이의 취향에 맞게 발전시킨 놀부부대찌개는 엄청난 성장을 한 것이다. 놀부보쌈, 놀부부대찌개, 놀부항아리갈비. 이른바 '놀부'란 접두어가 붙은 토종 외식 브랜드를 만든 이는 김 순진 사장. 놀부라는 브랜드를 음식점에 붙인 것은 일종의 역설적 접근방법이었다. 엄청난 규모로 발전시킨 김사장은 ‘한식 프랜차이즈의 영역에서 벗어나 비외식 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신규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글로벌 종합 외식그룹으로 성장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힌 적이 있다. 1987년 놀부보쌈으로 시작한 놀부라는 브랜드는 이제 ..

우리가 어느 별에서 _ 정호승

우리가 어느별에서 정호승 우리가 어는 별에서 만났기에이토록 서로 그리워 하느냐우리가 어느 별에서 그리워 하였기에이토록 서로 사랑하고 있느냐사랑이 가난한 사람들이등불을 들고 거리에 나가풀은 시들고 꽃은 지는데우리가 어느 별에서 헤어졌기에이토록 서로 별빛마다 빛나느냐우리가 어는 별에서 잠들었기에이토록 새벽을 흔들어 깨우느냐해뜨기 전에가장 추워하는 그대를 위하여저문 바닷가에 홀로사람의 모닥불을 피우는 그대를 위하여나는 오늘밤 어느 별에서떠나기 위하여 머물고 있느냐어느별의 새벽길을 걷기 위하여마음의 칼날 아래 떨고 있느냐 * 2017년 12월 1일 금요일입니다.이제 2017년의 마지막 달력 한 장이 남았습니다.한 해 마무리 잘 하시고 행복한 연말연시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홍승환 드림

가 _ 홍승환

가 홍승환 가라고 말하면가버리는 사람이 있다 가라고 말해도가지않는 사람이 있다 가라고 말하는 건가지 말라고 말하지 못해 하는 말이다 가라고 가라고 가라고마지 못해 말해버린 나는가지 않고 기다리는 너를 시험해 보는 말이다 가고 오지 않는 사람을 생각하며가지않는 너를 시험해 보는 말이다 가는 사람은 오지 않는 사람은가지 못하는 나이기 때문이다. 가라 가라 가버려가식을 버리고 진실만을 알려다오.

카피의 힘 _ 반복의 법칙

반복의 법칙 말과 글은 일단 반복을 하면 리듬이 생긴다. 반복의 법칙에서 중요시하는 것은 바로 이 리듬이다. 리듬이 있으면 듣는 사람에게 경쾌한 느낌을 주고 기억하기 쉽게 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반복법은 일종의 수사법으로서 강조법의 하나이다. 같거나 비슷한 단어, 구, 절, 문장 등을 되풀이하는 표현법인데 강조의 효과가 나타난다. 반복법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같은 말을 반복하여 쓰는 동어반복, 같은 의미를 가진 말을 반복하는 동의어반복, 비슷한 말을 반복하여 쓰는 유사어반복, 다른 말을 반복하는 이어(異語)반복 등이 있다. 1. 신부님 신부님 우리 신부님----동어반복2. 하늘에, 파란 창공에 피어나는 구름----동의어반복3. 김대리도 박대리도 참석했다----유사어반복4. 그는 나에게 태양이며 ..

수취인불명 _김종제

수취인불명 김종제 값 비싼 우표를 붙여 끊임없이 편지를 보내지만 받아주는 곳이 전혀 없어 붉은 낙인 찍혀 되돌아온 살갗이 문패 아래 수북하게 쌓여있다 내가 바람이었다고 눈비 섞어내리는 문 밖을 한결같이 나서는데 붙잡을 힘도 없는 어머니는 마냥 소식만 기다리고 있다 추풍의 낙엽처럼 흩어져버린 아버지를 주워 읽는다 저 퇴색한 잎 하나에 하루만큼의 기억이 담겨 있어 아버지를 제대로 읽을 수가 없다 만주로 시베리아로 돌아다녔으니 낡고 병 들은 몸이 곧 소멸하리라 어디 홀로 멀리 가버려 행방불명으로 신고하기 전에 불 질러버리겠다고 한 곳에 가득 쓸어 모아놓는다 매캐한 냄새가 퍼져 나가며 아버지가 활활 타오른다 눈 앞을 가리는 이 지독한 연기 같은 生이 수취인불명 아니었을까 어제 흘린 눈물이 바닥에 가득 고여 있어..

카피의 힘 _ 동사의 법칙

동사의 법칙 인간형을 분류한 사례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가장 유명하게 알려진 것은 햄릿형과 돈키호테형으로 나누는 것이다. 햄릿형은 사색이 지나치거나 세상을 회의적으로 보는 경향이 많아 결단력이나 실행력이 약한 성격 유형을 말한다. "죽느냐, 사느샤, 그것이 문제로다." 셰익스피어의 작품 ‘햄릿’에서 유래한 말이다. 햄릿은 이 작품에서 아버지를 죽인 삼촌을 죽일 수 있는 기회가 있는데도 그가 기도를 하고 있어서 못 죽이게 된다. 기도를 하다가 죽으면 천당에 간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결국 실천을 하지 못하고 자신도 죽는 비극을 맞이하게 된다. 반면 돈키호테형은 현실을 무시하고 공상에 빠짐으로써 자기 나름의 정의감에 사로잡히어 분별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세르반테스의 작품에서 나온 것으로 돈키호..

4차 산업혁명 _ 어떤 미래가 올 것인가?

제 4차 산업혁명 제4차 산업혁명(제4차 産業革命)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낸 혁명 시대를 말한다. 18세기 초기 산업혁명 이후 네 번째로 맞이한 중요한 산업 시대이다. 이 혁명의 핵심은 인공지능(AI), 로봇공학, 사물인터넷(IoT), 무인 운송 수단(무인 항공기, 무인 자동차), 3차원 인쇄(3D 프린팅), 나노 기술과 같은 6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 혁신이다.제4차 산업혁명은 클라우스 슈밥(Klasu Schwab)이 의장으로 있는 세계경제 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 2016 년차 대회에서 주창된 용어이다. 3차 산업혁명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을 저술한 제러미 리프킨 (Jeremy Rifikin)은 현재 제3차 산업혁명이..